내가 프로젝트에서 주로 참여했던 분야는 프론트엔드 쪽인데,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2인 개발이기도 하고, 학부 때의 지식을 최대한 끌어올려서 서버 환경 설정을 담당 하기로 했다.
우선 WAS 환경을 만들고 → 데이터베이스 설정/연동 까지 완료한 후 → 본격적으로 이벤트를 등록할 웹페이지를 만들어야 한다.
또한 이것을 http 통신으로 기어에서 사용 할 수 있게 해야한다.
이를 위해서 우선 아파치 서버를 설치하고 마리아 DB도 함께 설치 했다.
-Apache 설치
yum -y install httpd
-MariaDB 설치
vi /etc/yum.repos.d/MariaDB.repo
#
MariaDB 10.1 CentOS repository list - created 2016-08-24 04:52 UTC
#
http://downloads.mariadb.org/mariadb/repositories/
[mariadb]
name = MariaDB
baseurl = http://yum.mariadb.org/10.1/centos6-amd64
gpgkey=https://yum.mariadb.org/RPM-GPG-KEY-MariaDB
gpgcheck=1
sudo yum -y install MariaDB-server MariaDB-client
이후에 mariaDB 실행때문에 다시 설치하는 뻘짓을 수행하긴 했지만
이걸로 이미 마리아DB가 설치 된 것이라 생략하도록 하겠다.
아파치 서버 설정 또한 기본적인 것이라서 생략한다. (포트설정, 방화벽설정, user/group nobody, ServerName 등)
php를 깔고 phpinfo페이지를 접속하니 DB가 제대로 설치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.
두번째로는 데이터베이스를 좀더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워크벤치로 접속하게 만드는 것을 해보았다.
MariaDB 버전이 5점대에는 호환이 잘 되었지만 10버전 부터 조금 달라졌다고 해서 워크벤치 접속이 안되는 걸까 했는데
초반에는 접속이 잘 되지 않았지만 DB 접속용 유저를 생성(#권한부여)하고 테이블 등을 구성한 결과, not supported라고 warning메세지가 뜨긴 하지만 삽입 및 수정 작업이 원활하게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.
이후에는 ftp사용을 위해 vsftp를 설치하고 ftp사용을 위한 유저를 추가하였다. (포트설정, ftp설정 포함)
-vsftp 설치
yum -y install vsftpd
227 Entering Passive Mode (***.**.**.***.**)
하지만 파일질라에서 이러한 오류가 나며 접속이 안되는 현상이 일어났는데
구글링을 해보니 사설 아이피에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패시브 모드를 해제하면 해결된다고 한다.
vi /etc/vsftpd/vsftpd.conf (vsftp 설정파일)
pasv_enable=NO (마지막줄 추가, 변경내용 저장)
service vsftpd restart (vsftpd 재시작)
마지막으로 Git을 사용하기 위해 조사를 해보았다. 윈도우에 설치는 해보았지만 github 계정과 이 프로젝트를 업로드 할 페이지만 생성하였다. git에 대해서는 좀 더 알아보아야 할 것 같다.
https://github.com/Bluishyj/minimap
'Project > 제10회공개SW개발자대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he Minimap] 개발일지-4 (0) | 2016.08.24 |
---|---|
[The Minimap] 개발일지-3 (0) | 2016.08.24 |
[The Minimap] 개발일지-1 (0) | 2016.08.24 |
[The Minimap] 개발 환경 (0) | 2016.08.18 |
[The Minimap] 개발 개요 (0) | 2016.08.18 |